연구 접근
연구 과제에 사용된 젠더와 성별 개념이 활용되었습니까?
그렇다면, 젠더 및/또는 성별의 개념을 명시적으로 정의했습니까? 연구에서 젠더 및/또는 성별의 어떤 측면을 조사하는지 분명합니까?
그렇지 않다면, 이것이 중요한 제한점이라고 생각합니까? 관련 문헌의 기존 지식에 의하면 고려해야 할 타당한 젠더 및/또는 성별 요소가 있습니까? 성별 및/또는 젠더는 귀하가 제안한 연구와의 관련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경우, 연구 설계에서 이를 반영해야 합니다.
연구의 질문 및 가설
연구 질문이나 가설이 젠더 및/또는 성별 또는 이와 관련된 집단이나 현상을 참고합니까? (예를 들어, 남성과 여성의 차이, 여성 간의 차이, 남자다움과 같은 젠더화된 현상의 이해를 위한 노력)
문헌 고찰
문헌 고찰에서 여자-남자, 소년-소녀, 또는 수컷-암컷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다는(또는 부족하다는) 것을 뒷받침하는 선행 연구를 인용했습니까?
문헌 고찰에서 과거의 연구들이 젠더 또는 성별에 대한 고려 정도를 명시하고 있습니까?
연구 방법
표본은 젠더 및/또는 성별 기반 요인들을 포괄하는 데 적절합니까?
젠더 및/또는 성별에 따라 분리된 자료수집이 가능합니까?
선정 및 제외 기준이 젠더 및/또는 성별과 관련하여 타당합니까? (주: 이는 인간, 동물 개체, 완전 유기체가 아닌 생물학적 시스템에도 해당함)
연구에서 제안된 자료수집 방법이 젠더 및/또는 성별 조사에 적합합니까?
분석 접근법은 젠더 및/또는 성별에 기반한 요인을 파악하기에 적절하고 충분히 엄격합니까?
윤리적 측면
연구 설계가 젠더 및/또는 성별에 특별한 의미가 있을 수 있는 관련 윤리적 이슈를 반영하였습니까? (예: 임상시험에서 임산부 포함)
Data from Canadian Institutes of Health Research [24]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