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1. SAGER(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) 지침 체크리스트: 사람 대상 연구

섹션/주제 항목 체크리스트 설명 [해당] 페이지 번호
일반적 사항 1 성별/젠더 용어의 적절한 사용
제목 2 대상자의 성별/젠더가 하나뿐인 경우 제목에 이를 명시
초록 3a 대상자의 성별/젠더가 하나뿐인 경우 초록에 이를 명시
3b 연구 모집단을 성별/젠더 세부 분류로 기술*
서론 4a 해당하면, 성별/젠더에서의 차이 또는 유사점 여부를 보여주는 선행 연구의 인용
4b 성별/젠더가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는지와 이에 따른 차이가 예상되는지 여부 언급
4c 연구 모집단의 성별/젠더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(예: 남성/여성 연구 대상자의 질병 유병률) 기술*
연구방법 5a 성별/젠더 정의 방법(예: 자가 보고, 유전자 검사)
5b 연구 설계에서 성별/젠더가 어떻게 고려되었는지, 남성 및 여성 연구 대상자의 적절한 대표성을 확보했는지 여부, 남성이나 여성이 배제된 경우 그 이유에 대한 정당성 제시, 또는 고려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는 기술.연구 설계에서 성별/젠더 기반 특정 중재(예: 여성에 대한 피임 의무화)에 대한 정당성 제시*피임 요건과 임신 및 수유자 배제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명시적으로 보고*
결과 6a 연구 모집단 기술에 고려된 모든 범주에 대한 성별/젠더 세부 분류의 온전한 제시*
6b 해당하면, 성별/젠더에 따라 세분화한 데이터와 성별/젠더에서의 차이점 및 유사점 기술
6c 결과와 관계없이 성별 또는 젠더 기반 분석을 보고(사전에 명시된 경우 본문에, 그렇지 않은 경우 부록에 포함)*
6d 임상시험의 경우, 성별/젠더에 따라 세분화한 이상반응 데이터(사전에 명시된 경우 본문에, 그렇지 않은 경우 부록에 포함)*
6e 성별/젠더에 따른 세분화된 환자 보고 지표 데이터 제시(사전에 명시된 경우 본문에, 그렇지 않은 경우 부록에 포함)*
6f 역학 연구의 경우, 건강문제 관련한 다른 노출 요인의 영향에 대해 모든 젠더를 고려하고 젠더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
6g 표 1에 남성 성별/젠더, 여성 성별/젠더, 그리고 기타 범주(수집된 경우)에 대한 별도의 행이 포함됨*
논의 7a 모집단의 모든 성별/젠더에 일반화 가능한 정도를 포함하여, 성별/젠더가 연구 결과 및 분석에 미치는 잠재적 함의 기술
7b 성별/젠더 분석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, 그 근거를 제시하고 해당 분석의 부재가 결과 해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
SAGER 지침을 근간으로 조정하였음.
원 SAGER 표에 추가된 항목임.
Adapted from Heidari et al. [5] with CC-BY.